1. a, b, c의 평균 점수 구하세요

a = 80, b = 75, c = 55

In [4]:
a = 80

b = 75

c = 55

class avg:
    def __init__(self,a,b,c):
        result = (a+b+c)/3
        print('주어진 값의 평균은 %d 입니다.' % result)

avg = avg(a,b,c)
주어진 값의 평균은 70 입니다.

2. 사용자 함수를 작성하여 자연수 123이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판별하세요.

In [5]:
a=123
def check():
     if a%2==0:
        print('짝수')
     else:
        print('홀수')

check()
홀수

3. format 함수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출력하세요.

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3 days. \ hi!!!!!!!!

In [8]:
a = 'I ate {0} apples'.format(10)
b = 'I was sick for {} days'.format(3)
f = '{0:!<10}'.format('hi')
print(a,b,'\n'+f)
I ate 10 apples I was sick for 3 days 
hi!!!!!!!!

4. 문자열 a:b:c:d가 있다. 문자열의 replace 함수를 사용하여 a#b#c#d로 바꿔서 출력하세요.

In [9]:
a = 'a:b:c:d'
print(a.replace(':', '#'))
a#b#c#d

5. 문자열 'I love python! you love java'을 리스트['I love python', ' you love java']으로 출력하세요.

In [10]:
a = 'I love python! you love java'
print(a.split('! '))
['I love python', 'you love java']

6. [1,2,3] 리스트에 추가하여 [1,2,3,4,5, [7,8], 'a','b']를 만들어 출력하세요.

In [26]:
a=[1,2,3]
a.extend([4,5,[7,8],'a','b'])
print(a)
[1, 2, 3, 4, 5, [7, 8], 'a', 'b']

7. a = {'A':90, 'B':80, 'C':70} 에서 key 'B'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고 그 요소는 a에서 삭제하세요.

In [28]:
#딕셔너리 a에서 'B'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
a = {'A':90, 'B':80, 'C':70}
print(a['B'])
del(a['B'])
print(a)
80
{'A': 90, 'C': 70}

8. 구구단을 구하는 사용자 함수를 만든 후 5단을 출력하세요.

In [12]:
def fivedan():
     for i in range(1, 10):
        print(5 * i, end=' ')

fivedan() # 구구단 전체 출력이 아닌 5단 출력이므로 다른 하나의 중첩for문은 삭제함
5 10 15 20 25 30 35 40 45 

10. 5000미만의 자연수에서 2의 배수와 5의 배수의 총합

In [29]:
result=0
for n in range(1,5000):
    if n %2==0 or n%5==0:
        result+=n
print(result)
7497500

11. 게시물의 총 건수(m)와 한 페이지에 보여 줄 게시물 수(n)를 입력시 총 페이지 수를 출력하는 사용자 함수를 작성 후 m 과 n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총페이지 수를 구하세요.

  • m=100, n=20
  • m=500, n=25
In [17]:
# m=100
# n=20
m=500
n=25

def pageNum(m,n):
    number = m/n
    print(int(number))

pageNum(m,n)
# 100, 20 인 경우 : 5페이지 필요
# 500, 25 인 경우 : 20페이지 필요
20

12. random 모듈을 사용하여 로또 번호(1~45 사이의 숫자 6개)를 생성하세요.

In [18]:
import random
for i in range(1,7):
     print(random.randint(1,46), end=' ')
3 14 39 15 23 17 

13. 사칙연산 클래스 만들고 다음 사항들을 출력하세요

In [22]:
class FourCal:
    def __init__(self,first,second):
        self.first = first
        self.second = second

    def setdata(self,first,second) # init 역할 중복
         self.first = first
         self.second = second

    def sum(self):
         result = self.first + self.second
        return result

    def sub(self):
        result = self.first - self.second
        return result

    def mul(self):
        result = self.first * self.second
        return result

    def div(self):
        result = self.first / self.second
        return result

a = FourCal(4,2)
b = FourCal(3,7)
# a.setdata(4,2)
# b.setdata(3,7)
print(a.sum())
print(a.mul())
print(a.sub())
print(round(a.div()))
print(b.sum())
print(b.mul())
print(b.sub())
print(round(b.div()))
  File "<tokenize>", line 12
    return result
    ^
IndentationError: unindent does not match any outer indentation level

a = FourCal(4,2) b = FourCal(3,7)

a.setdata(4,2)

b.setdata(3,7)

print(a.sum()) print(a.mul()) print(a.sub()) print(round(a.div())) print(b.sum()) print(b.mul()) print(b.sub()) print(round(b.div()))

14. for문을 사용해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세요.

In [23]:
for i in range(1,101):
     print(i, end=' ')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

15. A 학급에 총 10명의 학생이 있다. 이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는 다음과 같다.

[70, 60, 55, 75, 95, 90, 80, 80, 85, 100]\ for문을 사용하여 A 학급의 평균 점수를 구해 보자.

In [24]:
gradeA = [70, 60, 55, 75, 95, 90, 80, 80, 85, 100]
people = 10
result = 0
for i in gradeA:
     result +=i
print('학급의 평균 점수는', result/people, '입니다.')
학급의 평균 점수는 79.0 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