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은 데이터분석, 머신러닝/인공지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모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정제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변수명 :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이름
변수명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부르는 명칭으로 코딩하는 사람 마음대로 지을 수 있습니다. 다만, 아래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.
# A = 6 : (o) 대/소문자를 구분합니다
A = 6
# (x) 띄어쓰기는 할 수 없습니다.
a b = 6
# (o) 특수기호는 밑줄 기호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a_b = 6
# (x) 숫자가 맨 앞으로 오거나 숫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1a = 6
# (o) 맨 앞에 문자가 있으면 숫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a1 = 6
1) a=6
2) b=3.14
3) c='python'
4) d=[1, 2, 3, 4, 5]
5) e={“사과”:”apple”, “포도”:”grape”, “오렌지”:”orange”}
6) f=True
# 정수형
a=6
type(a)
# 실수형
b=3.14
type(b)
숫자형의 기능
a, b= 5,2
# 더하기
a+b
# 빼기
a-b
# 곱하기
a*b
# 나누기
a/b
# 몫 구하기
a//b
# 나머지 구하기
a%b
# 제곱 구하기
a**b
# 최댓값 구하기
max(a,b)
# 최솟값 구하기
min(a,b)
c='python'
type(c)
문자열의 기능
# 큰 따옴표, 작은 따옴표 무관
c='파이썬 격파'
d='시작'
# 문자 이어주기
c+d
# 문자열 반복하기
d*3
# 문자 가져오기
c[0]
c[3]
c[1:5]
c[1:]
c[-2]
# 문자열의 길이 구하기
len(c)
# 문자열에서 특정 글자 바꾸기
c.replace('격파','정복')
# 문자열을 리스트로 분리하기
c.split()
e='파이썬-격파'
e.split('-')
d=[1,2,3,4,5]
type(d)
리스트의 기능
# 특정 위치의 요소 가져오기
d[0]
d[1]
d[1:4]
d[-1]
# 특정 위치의 요소 수정하기
d[0]=0
d
# 리스트 합치기
d + [6,7,8]
# 리스트에 있는 요소 개수 구하기
len(d)
# 리스트에 있는 요소의 합 구하기
sum(d)
# 리스트의 요소를 문자열로 결합하기
e=['수박','딸기','사과','포도']
''.join(e)
'-'.join(e)
# 2차원리스트
e=[[1, 2, 3, 4], [5, 6, 7, 8], [9, 10, 11, 12]]
e
type(e)
e[1]
e[0][3]
e[1][2]
f={'가':1, '나':2, '다':[3,4,5]}
type(f)
딕셔너리 기능
# 특정 요소 가져오기
f['가']
f['다']
# 특정 요소 수정하기
f["나"]=6
f
# 요소 추가하기
f["라"]=7
f
h=True
type(h)
a=100
b=78
if a < b :
print('a가 b보다 작다')
if a == b :
print('a는 b와 같다')
if a > b :
print('a가 b보다 크다')
print('조건배우기')
실행코드 부분을 구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.
1) 가장 바깥쪽의 실행 코드는 들여쓰기가 없이 시작해야 합니다.
2) 콜론(:) 다음 라인부터 시작하는 실행 코드는 들여쓰기 간격이 모두 동일해야 합니다.
3) 조건문 뿐만 아니라 for, while 같은 각종 제어문, 함수 및 클래스에서도 들여쓰기를 해야 합니다.
a=100
b=78
if a < b :
print('a가 b보다 작다')
else :
print('a는 b보다 크거나 같다')
x=6
y=4
# x가 y보다 작다
x<y
# x가 y보다 크다
x>y
# x가 y와 같다
x==y
# x와 y가 다르다
x!=y
#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
x>=y
# x가 y보다 작거나 같다
x<=y
x=10
# A and B
# A 와 B 모두가 참이어야 참
if (x < 8) and (x > 2) :
print('가나다')
else:
print('파타하')
# A or B
# A 와 B 둘 중에 하나만 참이면 참
if (x < 8) or (x > 2) :
print('가나다')
else:
print('파타하')
# not A
# A가 거짓이면 참
if not (x < 8) :
print ('라마바')
# A in ○○○
# ○○○안에 A가 있는지 여부
# 문자열
a='abcd'
if 'b' in a:
print('kkk')
# 리스트
a = ['가', '나', '다', '라']
if '가' in a:
print('abc')
if '하' in a:
print('xyz')
s=85
if s>=90:
print('1등급')
if s>=80:
print('2등급')
if s>=70:
print('3등급')
if s>=60:
print('4등급')
else:
print('5등급')
s=85
if s>=90:
print('1등급')
elif s>=80:
print('2등급')
elif s>=70:
print('3등급')
elif s>=60:
print('4등급')
else:
print('5등급')
range(시작하는 값, 끝나는 값 다음 값, 변하는 값)
변하는 값이 +1일 경우 생략 가능
시작하는 값이 0일 경우 생략 가능
for i in range (4) :
print(i)
a = ['가', '나', '다', '라']
for i in a :
print(i)
n = [1, 2, 3, 4, 5, 6, 7, 8]
for j in n :
if j%2==0:
print(j)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 역삼역입니다.')
print('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.')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 강남역입니다.')
print('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.')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 교대역입니다.')
print('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.')
# def subway() : 함수(function) subway 정의
# subway() : 함수 호출
def subway( ):
print('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.')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 역삼역입니다.')
subway( )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 강남역입니다.')
subway( )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 교대역입니다.')
subway( )
# a : 매개변수 (parameter)
# '역삼역' : 인수
def subway(a):
print('지금 도착하신 정류장은' + a + ' 입니다.')
print('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.')
subway('역삼역')
subway('강남역')
subway('교대역')
def total(a, b) :
c=a+b
print(c)
total(1, 2)
total(4.2, 3.9)
# return c : 반환값
def total(a, b) :
c=a+b
return c
fir = total(1, 2)
sec = total(4.2, 3.9)
print(fir)
print(sec)
◎ lambda 표현식 : 함수를 간단하게 한 줄로 만든 함수
plus = lambda a, b : a+b
a=plus(1,2)
a
여러 기능들을 묶어서 만든 파이썬 파일
'라이브러리'와 혼용해서 사용
import random
random.randint(1, 6)
import random as r
r.randint(1, 6)
표준 모듈 :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모듈 ex) random, time, math 등
사용자 정의 모듈 :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모듈
서드 파티(3rd Party) 모듈 : 다른 사용자나 업체 및 단체에서 제공하는 모듈 ex) pygame, pandas, tensorflow